기획자의 글
최소의 집. 첫 번째 전시
몇 개월 전 전시, 포럼, 교육에 대한 다양한 기획에 대한 주체자의 한사람으로서 진행을 맡게 되었고 그 일환으로 장기간의 건축전시를 인사동에서 준비하고 있습니다. 한 가지의 주제를 던져 이 시대에 분투하는 많은 건축가들의 시선을 엿보고 그들이 제안할 새로운 집의 유형을 대중에게 경험 화하게 될 것입니다. 구축만이나 상품화의 전제가 된 전시는 아니지만 현실성 있는 대안이 요구되고 그 주제에 대한 각자의 선명한 정의가 따릅니다. 이 시대에 살고 모든 대중들이 가져온 집에 대한 고정관념을 다양한 건축가들의 고민을 통해 그들과 즐거운 집에 대한 상상을 할 수 있는 대중과의 새로운 장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한시적 기간을 두고 하는 전시가 아니기에 많은 분들의 조언과 참여가 필요하며 이 장기간의 마라톤을 위해 건축계와 다른 전문분야에 계신 많은 분들의 도움을 받고자 합니다. 시간이 지나 좀 더 건강하게 다듬어질 거라 믿어 의심치 않으며 모든 자료들이 축적되어 양질의 아카이빙을 기대합니다. 대중과 건축의 간극을 좁혀나가는 것이 이 장기간 마라톤의 최초의 목표이자 의미이기도 합니다. 이 전시의 주제는 “최소의 집”입니다. 첫 전시에 참여하게 된 건축가분들은 이미 물리적 공간의 최소 규모로 기 구축된 작업을 통해 본 주제의 “최소”에 대한 새로운 정의와 그 정의에 맞는 거주공간을 제안할 계획입니다.
이번 전시 참여 건축가는 임형남, 노은주 소장님, 김희준 소장님, 그리고 이번 전시 기획을 맡아 진행하고 있는 본인인 정영한 소장이 참여하여 첫 장기간의 마라톤 여정을 출발하게 되었습니다.
총괄 기획자. 정영한
관련기사
[조선비즈] ‘몸에 맞는 옷 입듯’, 건축가가 제안하는 ‘최소의 집’
현대건축의 새로운 지평을 열며 ‘빌라 사보아’·‘유니테 다비타시옹’·‘롱샹성당’ 등 수많은 명(明) 건축물을 남긴 르코르뷔지에(Le Corbusier)의 작품 중엔 다소 의아한 작품이 있다.
그가 생을 마감한 프랑스 남부 해안의 시골 마을 ‘로크브륀느 카프 마르탱(Roquebrune-Cap-Martin)’에 있는 16㎡(4평) 남짓한 통나무 집이다. 정방형으로 평범하게 지어진 이 집은 내부 역시 두 개의 침대와 붙박이 옷장, 책상·의자가 전부다…
취재 중 어느 여행자에게 이런 말을 들은 적이 있다. “여행을 하면 우리가 얼마나 많은 물건에 옥죄어 사는지 경험할 수 있다. 여행 가방 하나면 충분한 삶인 것을 우리는 매일 왜 그렇게 많은 것들을 짊어지고 살아야 하나.” 스몰하우스 운동에 관한 책 <작은 집을 권하다>(책읽는수요일 펴냄)를 쓴 다카무라 도모야도 비슷한 말을 썼다. “나는 종종 배낭 하나로만 살아갈 수 있다면 얼마나 행복할까 하고 생각한다. 그저 배낭 안에 적당히 필요한 것들을 넣고 아무 속박 없이 여행하듯 살고 싶다는 생각이 언제나 머릿속에서 떠나지 않는다.”…
얼마 전 EBS에서 방영한 다큐멘터리 영화 <작은 집에 산다는 것>에는 자신의 라이프스타일에 맞게 집을 지어 사는 세계 각지의 사람들이 등장했다. 큰 집에 살기 위해서는 평생 동안 대출금과 이자를 갚으며 인생의 많은 부분을 감수해야 하는데, 그렇게까지 하면서 ‘집의 노예’로 살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담긴 내용이었다…
[중앙일보] 방·화장실·부엌 … 있을 건 다 있는 ‘최소의 집’
인간이 살아가기 위한 최소한의 공간은 어떤 모습일까. 10일부터 서울 종로구 관훈동 창의물류갤러리 낳이에서 열리는 건축전 ‘최소의 집’은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엿볼 수 있는 전시다…
일본의 건축 대가 안도 다다오가 “내 건축의 원점(原點)”이라고 부르는 작품이 있다. 1976년 설계한 ‘스미요시 주택’. 폭 3.6m, 길이 14m 초소형 이층집이다. 가뜩이나 작은 집에 중정(中庭)이 3분의 1을 차지한다. 비좁아 어찌 사느냐고? 집주인 아즈마 부부는 집에 맞춰 간소한 삶을 산 덕에 지금까지 이 집을 지키고 있다…
[중앙일보] 돌실나이, ‘창의물류 갤러리 낳이’ 개관전:건축가 임형남, 노은주, 김희준, 정영한의 ‘최소의 집’
돌실나이의 인사동 갤러리 ‘낳이’가 창의물류의 의미를 더하여 새롭게 리뉴얼한 ‘창의 물류 갤러리 낳이’의 개관전이 오는 10~14일까지 관훈동 196-3 창의물류 갤러리 낳이에서 열린다 우리 문화를 의식주의 일상 문화를 위한 생활재료로 양산하여 유통하는 창의적인 물류 공간과도 같다는 발상에서 우리 옷은 물론 친환경 먹거리, 주거를 위한 최소의 건축이 제시될 예정이다. 또한 ‘최소의 집’을 통해 대중들이 원하는 집을 이 시대의 건축가들은 어떻게 이해하고 고민하고 또한 상상하는가·저렴하게 짓거나 작게 짓는 것만이 진정 대중이 원하는 집인가·앞으로 우리가 미래에 거주할 장소로서 집은 어떠한 곳일까에 대한 고민을 담아냈다…
복잡한 삶을 단순하고 간결하게 만드는 ‘미.니.멀.리.즘.’이란 과연 무엇일까? 음악, 미술, 건축 등 다양한 분야에서 뜨거운 이슈로 떠오르는 미니멀리즘. 최소의 의미를 가진minimal(미니멀)에 주의라는 의미를 가진 ism(이즘)의 합성어가 바로, 미니멀리즘이다. 최소한의 것으로 최대한 행복한 인생을 사는 비결이 ‘미니멀리즘’ 속에 숨어 있다? 새로운 문화 코드로 자리 잡은 미니멀리즘의 모든 것을 지금, 바로 공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