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2005. Interior design

Minos clinic

PROJECT

Minos clinic

Architect : Younghan, Chung
Location : chungdamdong, Gangnam, Seoul, Korea
Programme : commercial
Site area : 193.5m2
Interior finishing : Ceiling-Vinyl paint, Wall-Birch wood, Backpainting glass, Floor-lacebark pine, Bolon

중심으로 향해 있는 통로와 그 중심으로 둘러 쌓인 방들은 미로와 달리 어떤 질서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그것은 마치 자신의 자의적이고 주관적인 과거 전체와 대치하고 그 전체를 교정 당하는 것과도 같다. 그리고 그 중심에서 만나는 것은 모든 과거를 벗어 던진 새로운 자신이거나 혹은 미노타우로스와 같은 신적 원리일 것이다. – 이즈미 마사토 “우주의자궁, 미궁이야기” 문학적 욕구로 인하여 역사적 사건을 바탕으로 사람들 사이에 퍼져갔던 가상소설과도 같은 것, 그것이 바로 신화(myth)일 것이다. 그것을 접하면서 우리는 오히려 문학에서 보여지는 작가의 자위적 해석 혹은 주관적 경험 내지는 정서와 더불어 상상력에 기인한 것보다 더 풍부한 어떤 것을 느끼게 된다. 이는 마치 규정되어 있지 않은 공간에 점유하게 될 특정 프로그램 – 지극히 사실적이고 객과적인 것 – 을 바탕으로 가상의 단서를 찾는 행위와 차이가 없을 것이다. 그 단서를 통해 전체의 줄거리를 구성하고 상상력의 날개, 마치 밀랍과 깃털로 만든 이카로스의 날개와 같은 것을 달고 공간 프로그램 이상의 것을 기대해 볼 수 있는 것이다. 신화 속에 등장한 미궁(labyrinthos)을 빌어 형상적 복원이 아닌 현상적 복원을 통해 고대 신화 속에 등장한 가공의 장소를 부활시켜 새로운 미궁도를 그려 보는 것이 이 프로젝트의 주안점이다. 하지만 미노타우로스 퇴치를 위해 미노스 왕으로부터 크노소스 궁전설계를 의뢰 받고, 결국 자신이 만든 미궁 속에 갇히게 될 위대한 건축가 다이달로스는 나의 역할이 아님을 미리 밝혀 둔다. 미궁에 대한 많은 이견들 중 미궁이 미궁도에 기원을 두고 있고 그 미궁도는 성혈에 기원을 두고 있어 마치 그 형상이 여성의 자궁이나 음부를 나타내고 있을 가능성에 대한 출발의 단서가 되었고. 이는 여성의 회음성형을 하는 여성 진료공간이란 특정 프로그램과 결합하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여성의 프라이버시가 극히 강조되는 공간의 특성을 고려하여 몇 가지 대안들로 새로운 미궁도의 도안이 그려졌다. 이를 테면 이용자들 서로 간의 시선의 교차가 최소화되어야 한다는 것, 진료행위의 공간은 중심으로부터 최대한 멀리 배치하여 이용자들에게 노출되지 말 것, 외곽에 배열되어 있는 각 실들은 통로로 연결되어야 하며 동시에 모든 통로의 출구는 중심으로 향해있을 것, 각 실들의 출구는 모호하게 하여 출구를 찾는 방식은 사인에 의존할 것, 그 사인의 위치는 눈높이가 아닌 천정으로 배치되어 시선의 교차를 배제 할 것 등. 아직은 조금 낯 설은 시술에 대한 불안한 심리를 완화시켜줄 재료 선정이 이루어졌고, 결국 새로운 미궁(labyrinthos)이 복원되었다.

입구에서 보이는 가벽(hanging wall)으로 인해 장소의 성격을 감지하지 못한 채 최소한의 정보를 가진 타이포그래피 (사인과 지도)로 첫 대면을 하게 된다. 중심부에 위치한 리셉션은 독립적인 부스의 형태를 띠고 있고 간격이 다른 보이드로 인해 외곽에 놓인 셀들의 출구까지 가변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 중심부를 감싸고 있는 외곽 통로는 마치 출구를 찾을 수 없는 모호한 느낌을 주며 부스를 에워싸고 있는 자작나무(birch)는 차가운 유리로 구성된 외곽통로의 물성을 중성화하기에 적합하였다. 각 실들로의 출입은 최소한의 천정사인으로 방향성만을 지시하고 있다. 더블스킨으로 이루어진 기존 건물의 특성에 따라 중심과 그 외곽에 기능적인 실이 배치되었고 자연스럽게 대기실이 외부로 놓이게 되었다. 외부로부터의 빛의 유입은 기존 건물의 더블스킨으로 걸러져 외곽통로 상부의 고창으로부터 중심까지 흘러 따뜻한 질감으로 느낄 수 있게 되었다. 진료에 적합한 동선은 외곽통로 이면에서 각 실들로 연결되어 있으며 원장실에서 수술실 그리고 회복실, 파우더, 화장실까지 그리고 다시 중심부인 리셉션으로 나올 수 있게 된다.

만약 다이달로스가 현존하여 이 미궁을 경험한다면 어떤 반응을 보일지 궁금하다.

 

Unlike a labyrinth, the pathway toward the center and the rooms surrounded by this center are constructed by certain order. And it’s like that standing opposite to one’s own and subjective whole pasts and being modified in its whole pasts. The thing meeting at the center is new oneself getting out from whole pasts or god’s principle like Minotauros. – “Womb of Universe, the Story of Labyrinth” by Izumi Masato Something like virtual novel spreading over people based on historical event due to literary desire, this must be a myth. Facing with it, we can feel richer things than the thing originated from imagination together with own interpretation of writer, subjective experience, or emotion seen in literature. This have no difference with the behavior looking for virtual clues based on specific program – extremely real and objective – which will occupy undefined space. Through these clues, we can construct whole story and expect more than spatial program with the wings of imagination such as wings of Icarus made of wax and feathers. Main point of this project is that picture new labyrinth by reviving virtual place appeared in ancient myth through not formal restoration but restoration of phenomenon borrowing labyrinth appeared in myth. (labyrinthos) However, I make clear in advance that great architect, Daedalus who was requested the design of the palace Knossos from the king of Minos for subjugating the Minotaur and finally had been locked in labyrinth which he had made is beyond my role. Of many other opinions to the labyrinth, the labyrinth is based on the picture of labyrinth and this picture is based on holy blood, and its shape became a clue of beginning to a possibility which will indicate womb or the mons pubis of women. And this has joined with specific program which is the space of diagnosis and treatment for women where undergo cosmetic surgery of the perineum. In this procedure, considering the property of space which the privacies of women is extremely emphasized, the design of new labyrinth picture was drawn with several alternatives. For example, the space should have minimal crosses in users’ eyes, the space for diagnosis and treatment should not be exposed to users by locating far away from the center, each room which is arranged to outside should be connected to the pathway while the exits of all pathways should be toward the center, the exits of each room should be vague and the method to find exits should be depended on the sign, and the position of the sign should be located on ceiling not the eye-level and therefore, it should remove the crosses of users’ eyes. The selection of materials which will ease restless mind to a little unfamiliar medical treatment was carried out, and finally, new labyrinth (labyrinthos) was restored.

At first, we will face with typography (signs and maps) which has minimal information without detection the characteristics of place due to hanging wall seen from the entrance. The reception located on the center part shows the form of independent booth and is connected variably to the exits of cells located on outside due to voids of different intervals. Outer pathway which surrounds its center part gives vague feeling like not be capable of finding exits, and birch which surrounds the booth is proper to neutralize the physical property of outer pathway consisting of cold glass. The entrance to each room indicates only orientation with minimal ceiling sign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xisting building, functional room is located on the center and its outside, and naturally, waiting room is located on outer space. Introduction of the light from outside is filtered with double skin of existing building and it flows from high window of upper part in outer pathway, and therefore, we can feel it with warm texture. The path flow which is adequate to diagnosis and treatment is connected from inside of outer pathway into each room, and is also connected from the hospital director’s office to operating room, recovery room, powder, toilet, and again to the reception which is center part.

If Daedalus was still alive and experienced this labyrinth, I’m so curious of his response.

FacebookTwitterPinterestGoogle+TumblrKakaoEmail

 Previous  All Projects Next